포항 오어사 와 장기읍성 둘러보기
2015년 을미년 새해가 밝았다... 새해 첫 주말.. 오랫만에 길을 나서 본다...대구에서 가까이 있으면서,옛말에 "등잔밑이 어둡다"
고 했던가?? 포항에서 직장생활을 3년 했지만 오어사를 둘러보지 못했으니....모처럼 짬을 내어서 오어사와 장기읍성을 둘러보고
시간이나면 동해쪽으로 드라이브 겸해서 집을 나선다....
吾魚寺(오어사)
대한불교조계종 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신라 진평왕 때 창건하여 항사사(恒沙寺)라 하였다.
그 뒤 신라 고승 원효(元曉)와 혜공(惠空)이 함께 이곳의 계곡에서 고기를 잡아먹고 방변(放便)하였더니 고기 두마리가 나와서 한마리는 물을 거슬러올라가고 한마리는 아래로 내려갔는데, 올라가는 고기를 보고 서로 자기 고기라고 하였다는 설화에 의하여 오어사라 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그러나 창건 이후의 역사는 전래되지 않고 있다. 다만, 유적에 의하면 자장(慈藏)과 혜공·원효·의상(義湘)의 네 조사(祖師)가 이 절과 큰 인연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절의 북쪽에 자장암과 혜공암, 남쪽에 원효암, 서쪽에 의상암 등의 수행처가 있었으므로 이들 네 조사의 행적과 연관짓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나한전(羅漢殿)·설선당(說禪堂)·칠성각·산령각 등이 있다. 이 중 대웅전을 제외한 당우들은 모두 최근에 건립된 것이다. 이 절의 대표적인 유물로는 대웅전 안에 보관되어 있는 원효대사의 삿갓이다.
'구름다리'를 지나 '오어지'건너편에서 카메라에 담은 "오어사 전경"이다 산꼭대기의 암자가 "자장암"이다...
포항 오어사 대웅전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 452 호
소재지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오어로1
연 대 :
운제산에 있는 오어사는 신라 진평왕(재위 579∼632) 때 세운 절로 ‘항사사’라 불렀다. 후에 신라 고승 원효와 혜공에 얽힌 설화로 ‘오어사’로 부르게 되었다. 현재 절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나한전, 설선당, 칠성각, 산령각 등의 건물이 남아 있다.
대웅전은 조선 영조 17년(1741)에 고쳐 지은 것이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오어사 범종각
포항 오어사 동종 : 보물 제 1280 호
소재지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오어로1
연 대 : 고려시대
신라시대 종의 형태를 하고 있는 고려 범종으로, 종의 꼭대기 부분에 종을 매다는 역할을 하는 용뉴와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용통이 있다.
몸통부분의 위와 아래에는 횡선의 띠를 두르고, 같은 무늬를 새겨 넣었다. 3분의 1되는 곳 위쪽으로는 사각형의 유곽을 만들고, 그 안에 9개의 돌출된 모양의 유두가 있다. 또한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볼 수 없는, 종을 치는 곳인 당좌를 따로 둔 것도 특징이라고 하겠다.
이 종 몸통의 문양을 보면 서로 마주보고 꽃방석 자리에 무릎을 꿇고 합장하는 보살을 새겼고, 다른 두 면에는 범자가 들어간 위패형 명문으로 장식하였다.
고려 고종 3년(1216) 주조되었고, 무게가 300근이나 되고 오어사에 달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종의 변천과정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오어지 호수가를 산책 할 수 있게 이름 붙여진 "오어지 둘레길" 안내표지판
오어사 둘레길의 "구름다리"
"오어지" 호반의 전경
장기읍성에도 포항의 랜드마크가된" 감사운동 둘레길"이 있었다....
포항 장기읍성 : 사적 제 386호
소재지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127-2
연 대 : 조선시대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을 말한다.
고려 때 처음 이 성을 쌓았는데 동쪽으로 왜적을 막고 북쪽으로는 여진족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었다. 『고려사』, 『신증동국여지승람』등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 현종 2년(1011) 당시에는 흙으로 성을 쌓았으나, 조선시대에 와서 돌로 성을 다시 쌓았다고 한다.
성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둘레가 1440m이며 3개의 성문과 문을 보호하기 위해 쌓은 작은 성인 옹성, 성벽 바깥에 사각형 모양으로 덧붙여서 만든 치성을 갖추고 있다. 또한 4개의 우물과 2개의 연못인 음마지(飮馬池)가 있다. 성 안쪽에는 교육기관이었던 장기향교와 관청이었던 동헌 터가 남아 있는데 동헌은 현재 면사무소 안으로 옮겨 보호하고 있다.
산꼭대기에 있으면서 읍을 다스리는 기능도 갖추고 있는 장기읍성은 읍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 유적이다.
장기읍성을 걷다가 하늘을 올려다보니 구름과 함께 성벽에 서있는 고목이 대비가 되어 카메라에 담아보았다...
포항 장기향교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 327호
소재지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성길92
연 대 :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장기향교는 조선 태종 5년(1405)에 처음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지자 선조 33년(1600)에 다시 지었다. 정조 9년(1785)에 마현동으로 옮겨 지었고, 1931년 군수 김영수가 읍성내에 있던 구객관을 수리하고 위패를 모셔 지금의 향교로 전해오고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서문경·서극인·이대임·이눌 등이 향교에 모시고 있던 위패를 용암석굴에 옮겨 놓아 위패만은 무사할 수 있었다고 전한다. 향교를 옮겨지을 때 덕계 임재화가 대대로 살던 자기 집터를 내놓아 향교 재건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은 제사지내는 공간인 대성전,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명륜당, 내삼문, 외삼문 등이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그의 제자들과 중국, 우리나라의 성현들을 모시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대나무 숲이 성벽주위를 둘러싸고...
읍성길을 걷다가 어릴적 보았던 "탈곡기"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장기읍성"은 현재에도 성벽 보수공사중 이었다..
저 멀리 동해바다가 보인다....
장기면사무소에 주차장 주변에는 " 近民堂(근민당)" 이라는 동헌 건물이 있다. "장기읍성" 안에 있던것 이란다.
포항 장기 척화비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 224호
소재지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107
연 대 :
척화비란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승리로 이끈 흥선대원군이 서양 사람들을 배척하고 그들의 침략을 더욱 강력히 국민에게 경고하기 위해 서울 및 전국의 중요 도로변에 세우도록 한 비로, 이 비도 그 중의 하나이다.
비는 반듯한 사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운 모습이며, 비몸의 네 모서리와 윗변의 양끝을 단정히 다듬어 놓았다. 앞면에는 비문을 새겨 두었는데 내용에는 “서양오랑캐가 침입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해할 수 밖에 없고 화해를 주장하면 나라를 파는 것이 된다”는 강한 어투의 경고를 적고 있다.
고종 8년(1871) 신미양요 이후 같은 해에 일제히 세운 것으로, 고종 19년(1882) 임오군란이 일어나고 대원군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납치되면서 대부분의 척화비들은 철거되고, 이처럼 몇 기의 비들만이 곳곳에 남아 옛 역사의 한 부분을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다.
원래는 장기읍성 안에 있었으나, 1990년에 장기읍사무소 정원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자료출처 : 문화재청
'여행스케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주호 심항산 종댕이길 (0) | 2017.08.21 |
---|---|
여수 금오도 비렁길 둘러보기 (0) | 2017.05.10 |
전라남도 담양 테마여행(2) (0) | 2014.10.20 |
전라남도 담양 테마여행(1) (0) | 2014.10.20 |
낙동정맥 트레일 봉화구간(분천역~승부역) 걷기 (0) | 201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