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화성 둘러보기 수원 화성 (華城) : 사적 제3호 소재 지 :수원시 팔달구 일원 연 대 : 조선시대 수원 화성은 서쪽으로는 팔달산을 끼고 동쪽으로는 낮은 구릉의 평지를 따라 쌓은 평산성이다. 정조는 그의 아버지 장헌세자에 대한 효심에서 화성으로 수도를 옮길 계획을 세우고, 정조 18년(1794)에 성을 쌓기 .. 문화재 2015.04.14
국보1호 숭례문 등 서울 문화재 답사 서울 숭례문 : 국보 제1호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40 연 대 : 조선시대 조선시대 서울도성을 둘러싸고 있던 성곽의 정문으로 원래 이름은 숭례문이며, 남쪽에 있다고 해서 남대문이라고도 불렀다. 현재 서울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태조 5년(1396)에 짓기 .. 문화재 2015.04.13
창덕궁 후원 창덕궁 후원 창덕궁 후원은 창덕궁 북쪽에 창경궁과 붙어있는 한국 최대의 궁중 정원이다. 궁원,금원,후원으로 불리었으며, 1405년(태종5년) 10월에 별궁으로 지은것인데 임진왜란때 불타 없어지고 1609년(광해군1년)에 중수했다. 많은 전각과 누각과 정자가 신축,보수되어 시대에 따른 특색.. 문화재 2015.03.25
창경궁 문화재 창경궁 : 사적 제123호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185 조선시대 궁궐로 태종이 거처하던 수강궁터에 지어진 건물이다. 성종 14년(1483)에 정희왕후, 소혜왕후, 안순왕후를 위해 창경궁을 지었다. 처음 지을 당시의 건물은 명정전·문정전의 정전과 수령전·환경전·경춘전·인양전.. 문화재 2015.03.24
창덕궁 문화재 창덕궁 : 사적 제122호 조선시대 궁궐 가운데 하나로 태종 5년(1405)에 세워졌다. 당시 종묘·사직과 더불어 정궁인 경복궁이 있었으므로, 이 궁은 하나의 별궁으로 만들었다. 임금들이 경복궁에서 주로 정치를 하고 백성을 돌보았기 때문에, 처음부터 크게 이용되지 않은 듯 하다. 임진왜란.. 문화재 2015.03.23
경복궁 문화재 경복궁 : 사적 제117호 조선시대 궁궐 중 가장 중심이 되는 왕조 제일의 법궁(法宮, 임금이 사는 궁궐)으로 태조 4년(1395)에 한양으로 수도를 옮긴 후 처음으로 세운 궁궐이다. 궁궐의 이름은 정도전이 『시경』에 나오는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부르니 군자만년 그대의 큰 복을 도.. 문화재 2015.03.20
문경 봉암사 부처님오신날 탐방 문경 희양산 봉암사 봉암사는 지금부터 약 1100여년전 신라 헌강왕 5년에 _지증국사께서 창건한 고찰로서 선종산문인 구산선문의 일맥인 희양산문으로 그 사격이 매우 당당하다. 당시 이곳은 신라 문화의 정수인 선풍을 크게 일으켜 구산선문 가운데 희양산파의 주봉을 이루었던 곳이다. .. 문화재 2014.05.07
강릉,삼척,울진지역 문화재 탐방 강릉 임영관 삼문 : 국보 제51호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임영로131번길6 연 대 : 고려시대 고려시대에 지은 강릉 객사의 정문으로, 현재 객사 건물은 없어지고 이 문만 남아 있다. 객사란 고려와 조선시대 때 각 고을에 두었던 지방관아의 하나로 왕을 상징하는 나무패를 모셔두고 초하루와.. 문화재 2014.04.03
양양 선림원지,진전사지,강릉신복사지,굴산사지 문화재탐방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 국보 제122호 소재지 :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100-2 연 대 : 통일신라 진전사의 옛터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진전사는 8세기 후반 통일신라시대에 도의국사가 창건한 절이라 전하는데, 터 주변에서 ‘진전(陳田)’이라 새겨진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절의 이.. 문화재 2014.04.03
충주지역 및 오대산 상원사,월정사 문화재탐방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 국보 제6호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11 연 대 : 통일신라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 문화재 2014.04.03